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7편에 이어서 8편,

알트코인의 종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이더리움클래식(ETC/KRW)

시가총액은 8.8조원(21.10.21기준)입니다.

최초 발행은 2016년 7월입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분산된 블록체인 기반의 오픈 소스 컴퓨팅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사전 정의된 조건을 기반으로 특정 작업을 트리거하는 자동 실행 코드 블록인 스마트 계약을 구축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호환되는 암호화 지갑이 있는 한 누구나 거래에 참여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커뮤니티 내 이념적, 기술적 분열 로 인해 2016년에 형성되었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의 기원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면 이더리움에 분산형 자율 조직 또는 DAO 를 구축할 수 있는데요.

 

DAO의 의사 결정 장치는 성문화되어 있어 사람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016년 독일 스타트업 Slock.it은 The DAO로 알려진 이더리움에 대한 DAO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크라우드 펀딩으로 1억 5천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지만 해커는 스마트 계약의 허점을 악용하여 그 과정에서 5천만 달러를 훔쳤습니다.

 

이 자금을 복원하기 위해 새로운 이더리움(ETH) 체인이 형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커뮤니티의 일부는 포크에 반대하여 대신 "Code is Law" 의 원칙을 선택했습니다.

 

블록체인은 인간의 변덕에 따라 달라질 수 없다면서 기존 체인에 남아 이더리움클래식(ETC)으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오래된 코드를 DAO 공격 전까지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종종 원래 이더리움 암호로 간주됩니다.

 

이더리움클래식 vs 이더리움 차이점?

 

기본적인 기능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이더리움 클래식의 주요 차별화 요소는 ETH 블록체인의 업데이트와 비호환성입니다.

 

하드 포크는 이전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 업데이트입니다.

 

새로운 규칙 세트를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체인은 유저와 함께 원래 체인에서 완전히 차단됩니다.

 

따라서 원래 체인(Ethereum Classic)은 새 체인(Ethereum)에서 발생하는 업데이트에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업데이트가 안된다는 것이죠. 하지만 이더리움클래식의 의미는 말하자면 원래 순수한 이더리움 코드 를 보존하는 데 있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변경되지 않은 역사적 기록 역할을 합니다. 

 

 

2)아하토큰(AHT/BTC)

시가총액은 572.3억원(21.10.21기준)입니다.

 

아하토큰은 궁금한 점을 질문하면 각 분야 전문가들이 답변을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좋은 질문과 답변을 하는 사람에게 아하토큰을 제공합니다.

 

타임스탬핑으로 기록된 반박할 수 없는 암호학적 증거를 가지고 소유권 등의 각종 권한을 입증해줍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아하 서비스의 특정 사용자가 생산해낸 특정 지식 콘텐츠인 아하 Q&A와 아하 칼럼, 아하라이브 콘텐츠 등 저작권 증명 및 거래 내역 보존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아하 플랫폼은 총 2단계의 개발 로드맵을 수립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개발 로드맵은 구체적으로 1단계 토큰 기반 디앱(Token based DApp)과 2단계 DFS가 포함된 디앱(DApp with DFS) 2단계로 구분됩니다.

 

지식커머스플랫폼 아하는 크게 아하Q&A, 아하칼럼, 아하리뷰, 아하컨설팅, 아하라이브 등으로 구성될 예정입니다.

 

지식커머스플랫폼은 텍스트, 영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양질의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며, 습득할 수 있습니다.

 

이 코인들이 앞으로 얼마나 성장하는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을 모르시는 분은 없으실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의 암호화폐인데요.

비트코인

 

사토시 나카모토(가명)가 2008년 10월 개발해서 2009년 1월에 프로그램을 배포했습니다.

 

각국 중앙은행이 필요없이 개인간 자유로운 송금으로 거래를 할 수 있게 된 것이죠.

 

특히 전 세계 유저들의 서버에 거래내역이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해킹이 불가능한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알트코인 뜻?

 

알트코인은 비트코인 이후 생긴 암호화폐를 말하는데요.

알트코인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여러 알트코인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제공하지만

 

일부 알트코인은 비트코인에 비해 더 많은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또한 도메인 이름이나 데이터 저장 포인터 같은 매우 구체적이며 비금전적인 사용 사례를 제공하는 알트코인도 있지요.

 

하지만 많은 알트코인이 별로 중요하지 않은 매개변수를 조정합니다.

 

알트코인은 테스트넷 기능이나 비트코인보다 더 큰 익명성을 전달해줄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자칫 코인을 개발한 사업자나 개발자를 위한 사기극이 될수도 있겠지요.

 

아무튼,

 

알트코인에 대해 너무 깊게 들어가진 않겠습니다.

 

 

그럼 알트 코인의 종류를 알아볼까요?

 

그럼 가장 유명한 이더리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1)이더리움

이더리움 로고

시가총액 537.3조원(21.09.03기준)이고요.

 

블록체인을 활용한 어떤 것이든 프로그래밍 할 수 있습니다.

 

거래 기록들을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진 플랫폼입니다.

 

알트코인 중 독보적인 선두에 위치한 코인입니다.

 

 

2)이더리움 클래식

시가총액 10.6조원(21.09.03기준)이고요.

 

생성된 기원이 재미있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의 하드포크(인위적 분절)로 생성되었는데요.

 

2016년 6월 이더리움 시스템 코드 오류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취했습니다.

 

개발팀은 오류 기록들을 무효화하고 재정비해서 새로운 체인을 만들기로 하였는데요.

 

하지만 약 10%의 사람들이 업데이트 하지 않고 잔류하면서 블록을 생성한 것이

 

현재 이더리움 클래식입니다.

 

3)도지코인

도지코인 로고 (셔터스톡)

시가총액 45.2조원(21.09.03기준)이고요.

 

시작은 장난처럼 일본 개 시바 이누를 마스코트로 만들었습니다.

 

이 시바견은 인터넷에 떠돌던 그림이었는데 이를 로고로 사용한 것이 재미있습니다.

 

출생부터 다가가기 쉬운 코인, 재미있는 코인이라는 이미지가 있었는데요.

 

특히 일론 머스크의 트윗이후 일약 스타덤에 오른 핫한 코인입니다.

 

특징은 빠른 코인 생산력입니다.

 

최초에는 1000억개로 고정이었지만 현재는 무제한 생산입니다.

 

1분에 1만개 코인이 생성되고 있습니다.


 

우선, 가장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알트코인을 말씀드렸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다양한 알트코인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